2020년 UN총회「디지털협력 고위급 회의」에서대한민국 청소년 공식 발언 영상 채택 활용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사장 이광호)은 지난 9월 23일 UN총회의 일환으로 개최된「디지털협력 고위급 회의」에서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공식 발언 영상이 채택되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디지털 시대의 연결(Connect), 존중(Respect), 보호(Protection)’를 주제로 사흘레 워크 제우데 에티오피아 대통령을 비롯한 7개국 정상과 팀 버너스 리 월드와이드 웹 창시자 등의 고위급 인사들이 참여한 가운데 온라인 화상회의 방식으로 개최되었다.UN은 본 회의 개최에 앞서 전 세계 청소년들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한「UN 청소년 미디어 캠페인」을 개최하였고, 본 캠페인에 참여한 전 세계 청소년들의 발언 영상(약 80여 편) 중 대한민국 청소년 국새봄양(15)과 이민서양(17)의 개인 영상과 이종호군(15), 김정우군(15), 김지훈군(15), 이연주양(16)의 팀 영상 등 총 3편의 영상이 채택, 고위급 회의에 공식 발언 영상으로 활용 된 것이다.UN 디지털미디어 특별보좌관실에 따르면 국새봄양의 ‘보호(Protection)’를 주제로 한 발언 영상은「디지털협력 고위급 회의」에 활용되었고, 각각 ‘존중(Respect)’과 ‘보호(Protection)’를 주제로 한 이민서양과 이종호군 외 3명의 발언 영상(2편)은 전 세계 회원국에 공식 발언 영상으로 공유되었다. 특히, 전 세계 회원국에 공유한 영상 총 3편 중 2편이 대한민국 청소년의 영상으로 국제사회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돋보였다고 전했다.본 미디어 캠페인에 참여한 국새봄양은 “UN총회와 같은 고위급 국제회의에 참여할 수 있어 뜻 깊게 생각하며, 미래에 국제사회의 발전을 위해 일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장래의 포부를 밝혔다. 파브리지오 혹쉴드 UN 사무차장(UN 디지털미디어 특별보좌관 겸임)은 “이번 디지털 협력 고위급 회의에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인상 깊었다”며, 채택된 3팀의 청소년들에게 감사장을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광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은 “청소년들의 국제사회 참여 확대를 위해 UN 창립 75주년 캠페인 등 다양한 협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바, 이번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국제사회 발언 영상 채택은 매우 뜻깊은 성과”라며, “앞으로도 UN 등 국제기구와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 청소년이 국제사회에서 눈부신 활약을 펼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 하겠다”고 말했다.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UN 청소년 미디어 캠페인에 협력기관으로 참여하였으며, 청소년들의 국제사회 참여기회를 확대하고자 UN 창립 75주년 캠페인(UN75) 등 다양한 청소년 분야 국제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보도자료 바로가기: https://www.kywa.or.kr/pressinfo/report_view.jsp?bgubun=&currPage=1&searchText=&searchColumn=&searchTextEn=&bgubun=&no=28722
장애 소녀, 소년, 청소년을 위한 UN의 10가지 원칙이 궁금하지 않으신가요?여러분께 소개드릴 것은 바로 UN에서 진행하고 있는 '장애를 겪고 있는 소녀, 소년, 청소년으로서 나의 보호, 행복, 그리고 성장을 위한 10가지 원칙'(이하 10가지 원칙) 캠페인입니다.이는 장애 소녀, 소년, 청소년의 권익 및 처우개선을 위한 원칙으로서 국내에서는 한국장애인개발원과 한국국제협력단이 공동으로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캠페인의 일환으로 10가지 원칙 영문 영상에 국문 자막을 삽입하여 유튜브 등 각종 SNS 채널에 게시, 이와 관련된 퀴즈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퀴즈 이벤트는 오늘(9.10.(목))부터 9.21.(월)까지 12일간 진행되며, 당첨자 900명에게는 10가지 원칙 그림이 들어간 그립톡을 경품으로 발송합니다.이벤트는 아래 절차를 따라 참여해주시면 됩니다.1. 아래 링크 중 하나에 접속하여 영상을 시청해주세요. - 유튜브: https://youtu.be/iu1Zz1SQZ2c (유튜브 시청 많이많이 부탁드립니다!^^)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watch/?v=696327640959637&extid=SmuH1OeYOEvowRXY - 블로그: https://blog.naver.com/koddi11/2220855035932. 좋아요, 팔로우, 구독 등 게시물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과 사랑을 표현해주세요.3. bit.ly/10가지원칙 에 접속하여 퀴즈를 맞춰주세요.이벤트에 대한 여러분의 관심을 공유함으로써 널리널리 퍼뜨려주시기 바라며 여러분의 관심에 미리 감사의 말씀드립니다.[문의] 한국장애인개발원 02-3433-0521
[UN 청소년 미디어 캠페인]2020 유엔 고위급 회의에 내 목소리를 전달하고 싶다면?! 영상을 응모해보세요!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의 혜택을 충분히 누리기 위해서는 잠재적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청소년 여러분이 마주한 현실을 영상으로 공유하여 청소년의 도전과제를 해결하고, 글로벌 디지털 협력에 기여할 수 있도록 여러분의 목소리를 들려주세요!* 대상: 만 15~29세 청소년* 일시: 2020. 8. 10.(월) ~ 8. 31.(월)* 내용: 디지털 시대의 연결, 존중, 보호에 대한 나의 생각을 90초 영상으로 제출* 지원링크: https://forms.office.com/Pages/ResponsePage.aspx?id=v4j5cvGGr0GRqy180BHbR0iztfiATTpJuMQ2thGRcMFURVlIQkM4VEhUM0tFMEJXTktMR0FWQTFDTy4u* 공고원문: 첨부파일 참고* UN측의 공고에는 언어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짧은 공모기간 내에 선정확률을 높이려면 UN공식언어 중 하나인 영어를 사용하거나 영어자막을 영상 내에 포함할 것을 추천합니다.* 문의: 02-330-2896
[EVENT] UN75 설문 참여 3차 이벤트(8.12.~8.31. / 발표 9.2.)UN75 설문 참여 후 링크를 공유해주세요!추첨을 통해 선정된 55분께 파리바게트 기프티콘을(1만원상당) 드립니다!이벤트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KYEC2007/posts/4182227378516470...**참가방법**1. 링크로 접속해(https://un75.kywa.or.kr/) UN75 설문참여 후 완료페이지 캡쳐하기!2. 개인SNS에 본 게시물 공유하기!3. 댓글로 설문완료 페이지 캡쳐본과 공유 인증사진(캡쳐본)을 남기기!※공유 링크가 아닌 공유한 인증사진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바랍니다.※1,2차 이벤트와 중복 참여 가능합니다.※관련문의(T.02-330-2897)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UN 창설 75주년 캠페인「우리가 함께 만드는 미래, UN75」참여인원 1만명 돌파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이사장 이광호)은 올해 UN과 협력하여 ‘우리가 함께 만드는 미래’를 주제로 추진하고 있는 범지구적 의견수렴 캠페인(UN75)에 참여한 인원이 7월말 기준 10,020명으로 1만 명을 돌파했다고 밝혔다.미래 글로벌 비전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는 본 캠페인은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UN75 공식 홈페이지(https://un75.kywa.or.kr/)의 공식 설문 등을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캠페인을 통해 수렴된 의견은 오는 9월 21일 UN 창설 75주년 기념 다자정상회담 개최 시 국제정치선언문에 반영, 채택될 예정이다.UN75 설문은 국제사회가 코로나 바이러스 회복을 위한 우선과제와 25년 후 기대하는 세상의 변화와 우리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게 될 세계적인 위협요인을 비롯해 유엔 사무총장에게 건의하고 싶은 사항 등 국제사회의 미래 전망과 관련된 7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UN은 지난 4월 코로나19 펜데믹 상황 등을 고려하여 코로나 바이러스 회복을 위한 과제 등의 설문항목을 추가로 반영한 바 있다.현재까지 UN75 캠페인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들은 ‘국제사회가 코로나 바이러스로부터 회복하기 위해 가장 우선 시 해야 하는 사항’으로 △보건에 대한 보편적 접근성(18.8%)과 △코로나 바이러스로 더욱 심화된 불평등 문제 대응(12.5%)을 꼽았다. 이는 코로나19로 심화된 전 세계적인 보건 위기와 이로 인한 불평등 심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25년 후 기대하는 세상의 변화’와 ‘우리의 미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협요인’으로는 각각 △강화된 환경보호(18.3%)와 △기후변화와 환경문제(25.6%)를 꼽아 범지구적인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과 우려를 동시에 나타냈다.미래의 글로벌 비전을 수립하기 위한 UN75 캠페인은 올해 연말까지 추진될 예정이다.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지난 2월 대한민국 최초로 UN75 담당 유엔 사무총장 특별보좌관실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국내 청소년과 지도자들의 UN75 참여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홍보활동을 전개하고 있다.한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은 8월 12일 ‘국제청소년의 날’을 기념하여 UN75 참여 활성화를 위한 이벤트를 공식 페이스북 페이지(https://www.facebook.com/kywa0924)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KYWA-UN75 '우리가 함께 만드는 미래' 참여 가이드북 업데이트UN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전 세계적인 보건위기 상황과 UN75 참여 이용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문 및 대화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일부 변경하였습니다.1. 설문조사 변경사항 (기존) 5개 설문항목 --> (변경) 7개 설문항목(국제사회 코로나 바이러스 회복을 위한 우선과제 및 국가간 협력 인식의 변화 여부 등 2개 항목 추가)2. 대화참여 변경사항 가. 대화주제: (기존) 6개 국제사회 이슈 --> (변경) 9개 국제사회 이슈(보건, 성평등, 인구구조 문제 등 3개 주제 추가) 나. 등록양식: (기존) 대화 개최등록 언어 "영어" --> (변경) 대화 개최등록 언어 "한국어" 업데이트 (기존) 대화 결과등록 양식 4p --> (변경) 대화 결과등록 양식 1p로 간소화위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UN75 참여 가이드북이 업데이트 되었으니 설문 및 대화 참여 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UN75 참여 가이드북에는 UN75 소개, 설문 참여와 대화 참여 관련 참가자용 · 운영자용 가이드, 참고 자료가 수록되어 있습니다.---------------------------<목 차>03p_ 왜 청소년 참여가 필요한가?04p_ 운영기관 소개07p_ 참가자용 가이드19p_ 운영자용 가이드-----------------------------KYWA는 대한민국 청소년들의 국제사회 참여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청소년들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문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정책사업2부 02-330-2895
UN75 대화 주제별 참고 영상자료 입니다. 대화 개최 전 사전학습 자료로 활용해 주세요!□ UN75 대화 주제관련 참고 영상자료(※ 아래 참고 영상은 유튜브 공개 영상 중 UN75 대화 주제와 관련 있는 영상자료 예시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번호주제영상자료 예시0UN75소개 ☞ https://youtu.be/m8Txt1RURvc (UN75 담당 특별보좌관 메시지)1기후 환경 ☞ https://youtu.be/VnvmP1718v4 (기후변화 이해) ☞ https://youtu.be/oSLazWlgy9w (남미 북동부 해수면 상승 피해) ☞ https://youtu.be/BvF8yG7G3mU (그레타 툰베리 연설)2갈등과 폭력 ☞ https://youtu.be/7rx98s8caeE (전쟁과 폭력 속 어린이) ☞ https://youtu.be/GVGaSAFbh3U (아동학대로 인한 사회적비극)3젠더(성평등) ☞ https://youtu.be/dvpRinl0ARc (UNDP "한국, 성평등 수준 세계 10위) ☞ https://youtu.be/94b8g5BFN4I (랭킹다큐, 양성평등을 위해 필요한 변화 Best 3) ☞ https://youtu.be/a2lWNtbPuxU (양성평등과 지속가능한 개발)4보건 ☞ https://youtu.be/dh5wEhLLvu0 (세계가 감탄한 한국의 코로나19 대처법) ☞ https://youtu.be/uJAHFc3nnX4 (WHO, “미국 지원 중단하면 의료 취약국 타격") ☞ https://youtu.be/YXn6jnWtb3o (코로나바이러스 시대의 글로벌 협력)5불평등 ☞ https://youtu.be/-94AVxuhtiw (경제불균형이 건강불평등 연결) ☞ https://youtu.be/mAb9O4wqHDU (소득불평등 심한 나라에 학교폭력 많아)6이주 및 난민 ☞ https://youtu.be/WEajD_FsFLU (지중해 건너다 숨진 난민) ☞ https://youtu.be/MRPKRCdpCq8 (외국인 200만명 시대) ☞ https://youtu.be/xWVQB8Cm8eg (순환이주의 시대 이민정책)7인구구조문제(도시화, 고령화 등) ☞ https://youtu.be/vF52wXz3RDg (우리나라 총인구 5천163만 명…가파른 고령화) ☞ https://youtu.be/QeTjqoNJfAc (도시화와 도시 문제 알아보기) ☞ https://youtu.be/RLMPA1k_RxA (국가별 인구 순위 변화 및 예측 TOP 105 (1950~2100))8디지털 기술 영향 ☞ https://youtu.be/0A9rTAUSmu0 (디지털 소외) ☞ https://youtu.be/B2U8ZIopCnI (인공지능 인류위협) ☞ https://youtu.be/IwKoI5uybQs (드론테러)9기타 ☞ https://youtu.be/oWwq1yavkkc (SDGs 소개) ☞ https://youtu.be/GJZXJaZx0WQ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K-SDGs)
업데이트된 UN75 대화 공식 주제 입니다.UN에서는 코로나19 등 현재 국제사회의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대화 주제를 추가하였으니 대화 운영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기존 6개 주제 ==> 변경 9개 주제(보건, 성평등, 인구 구조 3개 주제 추가)□ UN75 공식 주제 <자료출처: UN75 Issue Brief>주제구분세부 내용①기후 위기UN75대화주제안내□ 기후 변화는 우리 시대의 결정적인 위기이며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빨리 일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세계적인 위협에 대해 우리는 대응할 힘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지난 9월 안토니오 구테레스 UN 사무총장이 지적한 것처럼, "기후 위기는 우리가 지고 있는 경기이지만, 우리가 이길 수 있는 경기입니다." 지구의 어떤 부분도 기후 변화의 파괴적인 결과로부터 벗어날 수 없습니다. 기온 상승은 환경파괴, 자연재해, 기상이변, 식량과 물의 불안정, 경제적 붕괴, 갈등과 테러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해수면이 상승하고, 북극이 녹고, 산호초가 죽어 가고, 바다가 산화되고, 숲에는 화재가 발생하고 있어 굉장히 어려운 상황임은 분명합니다. 기후변화의 무한한 비용이 돌이킬 수 없는 정점에 다다른 지금, 이제는 과감한 집단행동을 취해야 할 때입니다.대화예시□ 기후변화가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부분이 있나요?□ 환경파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대화 키워드: 기후변화, 환경파괴, 기상이변, 자연재해)②갈등과 폭력의 새로운 시대UN75대화주제안내□ 갈등과 폭력의 성격은 75년 전 유엔이 창설된 이래로 크게 변화해 왔습니다. 이제 갈등은 이전보다 덜 치명적인 경향이 있고 국가들보다는 국가 내 그룹들 사이에서 종종 일어납니다. 성을 기반으로 한 공격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한편, 일부 지역에서는 살인 사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아동에 대한 폭력을 포함한 사람 간의 폭력의 증가에 대한 장기적인 영향 또한 널리 인식되고 있습니다. 이와는 별도로, 기술적 진보는 치명적인 자율 무기와 사이버 공격, 봇과 드론의 무기화 그리고 과격파들의 공격에 대한 우려를 가중시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해킹과 랜섬웨어를 포함한 범죄 활동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제협력은 모든 형태의 갈등과 폭력의 방지와 해결에 대한 국제적 잠재력을 약화시키는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봇(bot): 대리 과업 수행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대화예시□ (갈등) 국가간의 갈등은 왜 발생한다고 생각하나요?□ (갈등) 국가 간 또는 지역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 (대화 키워드: 국가·지역·세대 등 모든 유형의 갈등)□ (폭력) 아동 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 (폭력) 기술적 진보에 따른 사이버 폭력은 어떤 유형이 있나요? 해결방법은? (대화 키워드: 아동폭력, 신무기 공격, 사이버 테러 및 폭력 등)③젠더(성평등)UN75대화주제안내□ 남여 평등은 1945년에 채택된 유엔헌장에도 제시된 중요 사항입니다. 하지만 75년이 지난 지금도 여성과 소녀들은 여전히 불평등이 팽배한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는 것은 2020년 유엔의 우선순위이며, 2020년은 베이징 선언 및 행동강령이 채택된 지 25주년이자, 여성·평화·안보에 관한 안보리 결의안 1325호 채택의 20주년이며,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채택의 5주년이 되는 해 이기도 합니다. 2030 의제는 분명합니다. 남녀 평등 그리고 모든 여성과 소녀들의 권한 강화는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5(SDGs 5, 성평등)이자 다른 모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촉진제이기도 합니다. 궁극적으로 개발은 그 혜택이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동등하게 진행되는 경우에만 지속 가능합니다. 2030년까지 이러한 약속을 행동으로 바꾸기 위해 10년이 남았습니다. 지난 수십 년간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중요한 진전이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그 변화는 불균등하게 증가했습니다. 현재의 변화 추세로는, 세계의 성별 격차는 향후 100년 동안에도 좁혀지지 않을 것 입니다. 유엔 사무총장은 “여성과 소녀들에게는 그 변화가 너무 느리게 진행되고 있다”고 경고합니다. 향후 10년 동안 전 세계는 모든 여성과 소녀의 진보를 가속화하고 남녀 평등을 달성하기 위해 신속하고 결단력 있는 행동을 취해야합니다.대화예시□ (성평등) 현재 우리나라의 성평등 수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성평등) 현재 전 세계적인 성평등 수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성평등) 이러한 성평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④보건UN75대화주제안내□ 보건은 근본적인 인권이자 경제적 기회의 기반으로 여겨지지만 여전히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는 막연한 개념입니다. 기대수명 증가와 같은 중요한 진전이 있었지만 보편적이지는 못했습니다. 오늘날 기술의 발전과 보건의 서비스 범위에 있는 이들의 혜택은 실현되었지만, 여전히 전 세계가 가장 취약한 지역까지 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출산과 아동 보건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향상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산모 사망률은 37%까지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개발도상국의 산모 사망률은 여전히 선진국보다 14배나 높습니다. 빈곤 지역과 농촌 지역에 사는 여성들 대상 의료 서비스 보장 범위 또한 낮습니다.한편, 오늘날 세계는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3(SDG 3, 건강과 웰빙)을 달성하는데 추가적인 어려움들에 직면하고 있으며 어렵게 그 동한 성취한 진전까지 물거품이 될 수 있는 위협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기후와 인구의 변화, 도시화와 기술의 발전은 질병 패턴, 치료, 보건 시스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더욱이 많은 국가들은 아직 중요 보건 분야와 시스템, 특히 1차 의료 서비스에 충분한 투자를 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개발목표 3(SDG 3)인,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모든 사람들을 위한 복지 증진”을 달성하기 위해 우리 모두는 진보를 촉진해야합니다.대화예시□ (보건) 우리나라의 보건 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보건) 전 세계적인 보건 위기(코로나19 등)에 대응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 (보건)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보건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⑤불평등(격차 해소)UN75대화주제안내□ 오늘날, 사람들이 사는 어떤 곳에서도 불평등은 존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형태의 불평등은 우리의 시대를 정의하는 문제입니다. 불평등은 모두가 기회에 평등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합의에 따라 주요 정책 논쟁에서 우선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누구도 뒤에 남기지 말라'는 2030년 지속 가능한 개발 어젠다(2030년 의제)의 슬로건이기도 합니다. 대체적으로, 1990년대 이후의 전 세계적 불평등(전 세계 모든 개인에 대한 불평등)은 1820년대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습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우리는 대부분 국가 간 소득 불평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국가 내의 소득 불평등은 증가했고, 이러한 부분이 사람들이 일상에서 느끼는 불평등의 형태입니다. 불평등은 소득뿐만 아니라 성별, 나이, 출신, 민족성, 장애, 성적 지향, 계급, 종교 등의 다른 요소들에 의해 나타납니다. 이러한 요인들은 국가 내에서 그리고 국가 간에 지속되는 기회의 불평등을 유발합니다.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는 이러한 분열이 더욱 확연해 지고 있습니다. 한편 온라인 및 모바일 기술 접근성 등 새로운 분야에서도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그 결과는 복잡하고 혼재되어진 내·외부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대화예시□ 우리 주변에는 어떤 불평등이 존재하나요?□ 우리사회의 불평등 해소를 위해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대화 키워드: 소득, 성별, 나이, 출신, 민족성, 장애, 성적 지향, 계급, 종교 등 불평등)⑥이주 및난민UN75대화주제안내□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주를 하고 있습니다. 국제적 이주자들의 비율이 지난 20년 동안 전 세계 인구의 약 3%를 유지해 온 반면, 2000년 이후로 절반 이상 증가했습니다. 동시에, 오랫동안 지속된 분쟁으로 인해 집을 떠나야 하는 사람들의 수가 급격히 증가했으며, 기후변화와 환경파괴로 인해 더 늘어날 수도 있다. 대부분의 난민들과 이주자들의 이동은 지구 남쪽에 있는 국가들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대화예시□ 난민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난민을 받아야 할까요? 그렇지 않은가요?)□ 난민과 같은 인구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이 있을까요?(대화 키워드: 지역별 인구증가 및 감소, 인구이동, 난민 등)⑦인구 구조문제UN75대화주제안내□ 세계 인구는 현재 77억 명에서 2050년 97억 명으로 20억 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출산율 감소를 감안하더라도 21세기 말에는 11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전 세계 인구는 점점 더 도시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5세 미만의 아이들은 65세 이상의 사람들보다 더 많아질 것입니다. 지금부터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 증가의 절반은 9개국(인도, 나이지리아, 파키스탄, 콩고 공화국,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인도네시아, 이집트, 미국)에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인구는 두 배로 늘어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유럽과 대한민국의 인구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대화예시□ 우리나라의 인구구조(고령화, 도시화 등)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전 세계적인 인구구조에 대한 전망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⑧디지털 기술의 영향UN75대화주제안내□ 기술은 우리의 세계를 더 공정하고, 더 평화롭고, 더 정의롭게 만드는 것을 도울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진보는 극심한 빈곤 퇴치에서 산모와 유아 사망률 감소, 지속 가능한 농업, 양질의 일자리 촉진, 보편적인 읽고 쓰는 능력 달성에 이르기까지 17개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의 달성을 지원하고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기술은 사생활을 위협할 수도 있고, 안보를 약화시키고 불평등을 가중시킬 수도 있습니다. 인권과 주체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우리 정부와 기업 그리고 개인도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대화예시□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우리 삶에 어떤 영향(긍정적, 부정적)을 미치나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있어서 정부와 기업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까요?(대화 키워드: 개인정보 등 인권침해 문제, 정보 불평등, 해킹 등 안보위협)⑨SDGs 등글로벌이슈주제안내□ 5개의 UN75 공식 대화주제 이외 아래 SDGs 등 글로벌 이슈 관련 주제 선정 가능Goal 1 : 모든형태의 빈곤종결Goal 2 : 기아해소, 식량안보와 지속가능한 농업발전Goal 3 : 건강 보장과 모든 연령대 인구의 복지증진Goal 4 : 양질의 포괄적인 교육제공과 평생학습기회 제공Goal 5 : 양성평등달성과 모든 여성과 여아의 역량강화Goal 6 : 물과 위생의 보장 및 지속가능한 관리Goal 7 : 적정가격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제공Goal 8 :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및 양질의 일자리와 고용보장Goal 9 : 사회기반시설 구축, 지속가능한 산업화 증진Goal 10 : 국가 내, 국가 간의 불평등 해소Goal 11 : 안전하고 복원력 있는 지속가능한 도시와 인간거주Goal 12 : 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패턴 보장Goal 13 : 기후변화에 대한 영향방지와 긴급조치Goal 14 : 해양, 바다,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존노력Goal 15 : 육지생태계 보존과 삼림보존, 사막화방지, 생물다양성 유지Goal 16 : 평화적, 포괄적 사회증진, 모두가 접근가능 한 사법제도 제도와 포괄적 행정제도 확립Goal 17 : 이 목표들의 이행수단 강화와 기업 및 의회, 국가 간의 글로벌파트너십 활성화<자료출처: UN지원 SDGs협회>
UN75 설문 및 대화 내용 변경 안내현재 전 세계 코로나19 상황 등을 반영하기 위해 UN75 측에서 설문 및 대화 내용이 변경되었습니다.UN75 참여 가이드북 내용을 업데이트하여 안내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문의]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정책사업2부 02-330-2895